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차량용 소화기 의무설치 추천 설치위치! 안전을 위한 가이드

by 1분매니저님 2025. 3. 19.

    [ 목차 ]

최근 차량 화재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차량용 소화기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차량 내 화재는 순식간에 확산될 수 있어 초기 대응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차량용 소화기의 의무 설치 기준, 추천 제품, 올바른 설치 위치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차량용 소화기 의무 설치 기준

일정 규모 이상의 차량은 다음과 같은 차량용 소화기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 현재 법규에 따르면 승차 정원이 7인 이상인 차량(승합차, 버스 등)이나 화물차, 특수차량 등은 반드시 차량용 소화기를 비치해야 합니다. 또한 어린이 통학버스와 같은 특수 용도의 차량도 소화기 설치가 필수입니다.

* 일반 승용차의 경우 법적으로 의무 사항은 아니지만, 안전을 위해 차량용 소화기를 비치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2. 어떤 차량용 소화기를 선택해야 할까?

차량용 소화기를 선택할 때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고려해야 합니다.

 

 

1. 소화기 종류: 차량 화재는 주로 연료나 전기 계통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분말 소화기나 이산화탄소(CO2) 소화기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특히 ABC 분말 소화기는 화재의 원인과 관계없이 빠르게 진화할 수 있어 차량에 적합합니다.

2. 용량: 차량 내 보관 공간을 고려해야 하므로 1~2kg 정도의 소형 소화기가 적당합니다. 

3. 사용 편의성: 레버 방식이나 원터치 방식 등 간편한 작동 방식을 가진 제품이 추천됩니다.

4. 인증 여부: 소방청이나 한국소방산업기술원(KFI)에서 인증한 제품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3. 차량용 소화기 설치 위치

차량용 소화기는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음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운전석 및 조수석 하단: 운전자와 동승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어 가장 일반적인 설치 위치입니다.

센터 콘솔 박스 내부: 공간이 충분하다면 센터 콘솔 내부에 보관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운전석 또는 조수석 문 안쪽 수납 공간: 손이 닿기 쉬운 곳에 두면 긴급 상황에서 빠르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트렁크: 트렁크는 비교적 접근성이 낮지만, 공간이 넉넉해 대용량 소화기를 보관할 때 유용합니다. 

4. 차량용 소화기 유지 및 관리

차량용 소화기는 한 번 구입했다고 끝이 아닙니다.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관리해야 필요할 때 제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사용 기한 확인: 대부분의 차량용 소화기는 유통기한이 있습니다. 보통 5년 정도의 수명을 가지므로 정기적으로 교체해야 합니다.

2. 압력 게이지 점검: 소화기에는 압력을 확인할 수 있는 게이지가 있습니다. 정상 범위에 있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압력이 낮아지면 교체해야 합니다.

3. 노즐 및 분사구 점검: 먼지나 이물질이 쌓이면 분사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깨끗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4. 고정 상태 확인: 차량 이동 중 소화기가 굴러다니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해야 합니다.

5. 차량용 소화기, 안전을 위한 필수품

차량 화재는 예고 없이 발생할 수 있으며, 초기 대응이 중요합니다. 차량용 소화기는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너무 크면 보관이 어렵고, 너무 작으면 충분한 진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법적 의무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운전자가 차량용 소화기를 비치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안전을 위한 작은 준비가 큰 사고를 막을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며, 지금 바로 차량용 소화기를 점검해보는 것은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