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수도권 광역버스 노선 4월부터 '서울 ↔ 고양·용인·평택·양주' 운행

by 1분매니저님 2025. 3. 27.

    [ 목차 ]

오는 4월 1일부터 수도권 외곽 지역에서 서울 주요 거점을 연결하는 4개 광역버스 준공영제 노선이 본격적으로 운행을 시작한다.

 

이 글에서는 새로운 준공영제 노선에 대한 내용을 자세히 설명하겠다.

수도권 광역버스 교통 서비스 개선

이번에 신설되는 4개 노선은 각각 다음과 같다.

 

 

광역버스 준공영제는 정부와 지자체가 노선 인·면허 및 운영 관리 권한을 가지면서 운행 적자를 재정 지원하는 제도다. 이를 통해 운행의 공공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고, 시민들에게 더욱 체계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 고양(킨텍스) ↔ 영등포

* 용인(남사아곡) ↔ 서울역

* 평택(고덕) ↔ 사당역

* 양주(옥정) ↔ 잠실역

해당 노선들은 광역교통 수요가 많지만 기존 대중교통 인프라가 부족했던 지역을 중심으로 신설되었다.

수도권 광역버스 추가 6개 노선 신설 예정

광역교통의 취약 지역을 중심으로 운행될 예정이며, 수도권 시민들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한층 개선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지자체 수요조사와 타당성 검토를 거쳐 총 10개 노선을 확정했으며, 이번에 운행을 개시하는 4개 노선 외에도 추가 6개 노선이 향후 운행될 예정이다. 이들 노선은 다음과 같다.

안성 4305 (안성버스터미널 ↔ 문정로데오거리)

오산 5104 (세교21단지 ↔ 서울역)

광명 8507 (오리서원 ↔ 사당역)

양평 2301 (문호리 ↔ 잠실환승센터)

고양 M7412 (중산마을 ↔ 강남역)

화성 M4449 (한신대 ↔ 강남역)

광역교통 사각지대 해소 기대

고양, 용인, 평택, 양주 등에서 서울 주요 지역으로의 이동이 한층 원활해질 전망이다. 기존에는 출퇴근 시간대에 서울로 이동하려면 환승을 여러 차례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지만, 신설 노선을 이용하면 환승 없이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 같은 준공영제 모델은 장기적으로 수도권의 광역교통 체계를 개선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 외곽 지역에서도 보다 균형 잡힌 대중교통 인프라가 구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개선 계획

대광위는 광역버스 준공영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지속적으로 이용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바탕으로 배차 간격 조정, 증차 및 노선 효율화 등의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특히 출퇴근 시간대의 교통 혼잡을 줄이기 위해 승객 수요에 맞춘 유연한 운영 방식을 도입할 계획이다.

또한, 향후 광역교통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추가적인 노선 확대를 검토하고 있으며, 수도권뿐만 아니라 타 지역에서도 준공영제 모델을 점진적으로 확대 적용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수도권 교통의 새로운 전환점

이번 광역버스 준공영제 노선 개통은 수도권 교통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출퇴근 시간 교통체증이 심각한 지역에서 직접적인 이동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시민들의 교통 편의성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광위는 "이번 준공영제 노선 운행 개시로 수도권 교통 불편 지역 시민들의 출퇴근 편의가 대폭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광역교통 사각지대와 혼잡 지역을 중심으로 준공영제 노선을 확대하여 국민이 체감하는 수준까지 광역교통 서비스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수도권 주민들에게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인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 지속되는 가운데, 향후 추가적인 노선 확대와 서비스 개선이 이루어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국토교통부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는 수도권 교통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시민들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해당 노선들을 신설했으며, 향후 추가적인 확대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